명령어 처리기 Command.com
C:/windows/command 디렉토리에 보면 Command.com이라는 파일이 있습니다.
이 Command.com이 도스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해서 운영체제인 도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즉 Command.com파일이 명령어 처리기입니다.
흔히 말하는 부팅디스켓 또는 시동디스켓에는 반드시 이 Command.com이 들어갑니다.
이것이 없으면 도스는 사용자가 무엇을 요구하는지 알 수가 없겠죠.
외부 명령어와 내부 명령어
도스의 명령어 중에는 실행 파일이 없어도 실행 되는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cd, dir, copy, exit, cls 등이 그것인데 이러한 명령어를 "내부 명령어"라 하고
xcopy, sys, attrib, deltree,등과 같이 실행 파일이 있어야 실행되는 다른 모든 파일을
"외부 명령어"라고 합니다.
보통 C:\windows\command 의 경로에 보시면 도스 관련 파일들이 모여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파일들이 외부 명령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 Dos 명령어
이제 명령어들에 관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
명령어 |
실행 내용 |
cd |
디렉토리 간의 이동 |
dir |
목록보기 |
type |
디렉토리의 내용보기 |
copy |
복사하기 |
xcopy |
하위 디렉토리까지 복사하기 |
md |
디렉토리 만들기 |
del |
파일 지우기 |
rd |
디렉토리 지우기 |
deltree |
디렉토리 지우기-하위 디렉토리까지 삭제 |
ren |
이름 바꾸기 |
attrib |
파일 속성 바꾸기 |
exit |
command.com을 종료하고 윈도로 복귀 |
지금부터 소개하는 모든 명령은 대소문자의 구분이 없습니다.
그리고 명령어와 파라미터, 옵션 사이의 공백은 자신의 마음대로
여러개 입력해도 무방합니다. 명령과 옵션 사이의 공백은 없어도 됩니다.
또한 명령어를 입력한 다음에는 반드시 [enter]키를 눌러야 명령이 실행됩니다.
①cd
같은 드라이브 내에 다른 디렉터리로의 이동시에 사용합니다.
cd.--------자기 자신의 디렉토리.
cd..-------바로 위 디렉토리.
cd\--------그 드라이브의 루트 디렉토리.
cd [경로]---직접 이동을 원하는 곳으로의 이동시에 쓰임.
예)cd c:\windows\tryset
②DIR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 목록을 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dir 명령을 사용해서 목록을 보려면 먼저 그 파일이 있는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을 해야 합니다.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을 화면에 출력.
c:\>dir ---c:\에 있는 모든 목록을 출력.
c:\windows>dir-------c:\windows에 있는 목록 출력.
▷이동하지 않고 아무곳에서나 목록을 보고자 한다면 dir 다음에 그 경로를 직접 써넣어 주면 됩니다.
***즉 명령을 실행하려면 그 파일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거나 아니면 명령 다음에 그 경로를 써주면 된다는 규칙을 항상 기억하세요.******
c:\>dir c:\windows\test -----test폴더의 내용을 출력.
▷내용이 많을 경우에 한 화면씩 보고자 한다면 옵션을 씁니다. 옵션은 /로 사용.
/p----한 화면씩 끊어서 출력하면 다음 화면은 아무 글쇠를 누른다.
/w----한 화면에 5줄 씩 파일 이름만 출력
/s----하위 디렉토리에 있는 목록까지 모두 출력합니다.
파일의 이름을 알고있지만 어느 곳에 위치하는 지 모를 경우에 이 옵션을 씁니다.
예) 어느 디렉토리에 있는지 모르는 <test.txt>를 찾고자 한다면
c:\>에서 dir /s test.txt 라고 치면 하위 디렉토리를 뒤져서 찾아낸 파일을 출력합니다.
/A 스위치 - 특정 속성의 파일을 출력(/AH, /AR, /AS, /AD, /AA)
/O 스위치 - 파일을 정렬하여 출력(/on, /OE, /OD, /OS, /OG, /OC)
명령어 뒤에 붙는 /는 그 명령어의 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옵션 또는 스위치라고 부릅니다.
이 옵션은 'DIR/W/P'와 같이 여러개를 겹쳐 사용할 수 있으며,
'DIR /W'나 'DIR/W'처럼 붙여쓰거나 띄어 써도 상관없습니다.
또 'DIR C:\DOS /P'나 'DIR/P C:\DOS'처럼 옵션의 순서는 명령어 바로 뒤나 제일 뒤 중에서
마음에 드는 곳에 적어도 됩니다.
③TYPE
문서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문서 파일이 아닌 경우에는 화면에 이상한 글자들이 나오거나 삑하는 소리가 나옵니다.
▷ TEST.TXT라는 문서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c:\dos에 파일이 있다면
먼저 c:\dos로 이동하거나 경로를 직접 입력합니다.
c:\dos>type test.txt 또는 c:\>type c:\dos\test
④more
type와 같이 내용을 보여주지만 한 화면 내에서 보기에 너무 큰 파일이라면 이 명령을 씁니다.
c:\dos>more test.txt
◐경로를 모르면 컴퓨터를 모른다?◑ 경로(PATH)는 위치에 관한 정보. 외부 명령어나 일반 실행파일 (EXE)를 실행하려면 파일명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된다. |
◈현재 나오는 윈도우 버전인 윈미에서는 |
|
기어코 리얼 도스모드를 빼버렸더군요. |
|
때문에 부팅도 빨라지고 여러 가지 좋아진 것도 같지만 |
|
실제 사용자에게서는 그리 좋은 평판을 못얻고 있네요. 왜 그럴까요?◈ |
|
① CD (Change Directory 또는 Current Directory)
지금 현재 있는 곳에서 이동 하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현재 디렉토리의 경로를 알고 싶을 경우
C:\progra~1\>CD
▷ 현재 디렉토리 하위의 TEST 디렉토리로 이동
C:\progra~1\>CD TEST
▷ 루트 디렉토리 하위의 TEST 디렉토리로 이동
C:\progra~1\>CD \TEST
▷ 현재 디렉토리에서 한 단계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progra~1\>CD.. ('CD ..'처럼 'CD'와 '..' 사이를 띄어도 무방)
▷ 현재 디렉토리에서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
C:\progra~1\>CD\ ('CD \'처럼 'CD'와 '\' 사이를 띄어도 무방)
② COPY
파일을 복사하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copy [원본 경로] [대상 경로]
▷플로피 디스켓(A:\)에 있는 test.txt를 c:\에 있는 tmp 폴더에 복사
A:\>COPY A:\TEST.TXT C:\TMP
↑원본 ↑대상
▷c:\work 폴더에 있는 한글 파일인 .hwp 모두를 a:\에 복사 하려면.
copy c:\work\*.hwp a:
여기서 *는 모든 파일을 뜻함. 그러니까 *.hwp는 모든 hwp(한글파일).
/V 스위치 - 복사한 파일이 원본과 동일한지 검사
/Y 스위치 - 복사하고자 하는 곳에 똑같은 파일이 있어 덮어 쓰기가
될 경우 물어 보지 않고 무조건 덮어 쓰기
/-Y 스위치 - 덮어 쓰기가 될 경우 모두 확인 절차를 거침(기본값)
③ XCOPY
앞의 COPY가 내부 명령어인 반면, XCOPY는 외부 명령어입니다.
COPY가 파일 하나 하나를 복사하는데 비해 XCOPY는 하위 디렉토리까지도
복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 C:\TEST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D:\TEST1 디렉토리로 빈 디렉토리도 같이 포함해서 복사하고자 할 때의 명령.
XCOPY C:\TEST D:\TEST1\ /S /E
/S 스위치 -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해서 복사
/E 스위치 - 아무 파일도 없는 빈 디렉토리라도 복사
A:\> copy a:*.* c:\
A드라이브모든내용을 C:드라이브로 복사
④ DEL
파일을 삭제하려는 경우 사용합니다.
▷ TEST.TXT 파일을 삭제하고자 할 때.
DEL TEST.TXT
/P 스위치 - 파일을 지울 때 확인 절차를 거칩니다.
◐와일드 카드◑ |
⑤
⑥ REN (RENAME)
파일의 이름을 변경합니다.
▷ TEST.TXT를 TEST1.TXT로 변경
REN TEST.TXT TEST1.TXT
⑦ ATTRIB
파일중에는 시스템 파일처럼 중요한 특성을 가진 파일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파일들의 특성을 속성이라고 합니다.
이런 속성을 제거하거나 부여할 필요가 있을 때 이 명령을 사용합니다.
'R'은 읽기 전용(Read only), 'H'는 숨김(Hidden), 'S'는 시스템(Syatem)
속성을 의미하며 '-'로 속성 해제, '+'로 속성을 부여합니다.
▷ 시스템 파일인 MSDOS.SYS 파일의 읽기 전용, 숨김, 시스템의 3가지 속성을 모두 제거하려는 경우
ATTRIB MSDOS.SYS -R -H -S
/S 스위치 - 하위 디렉토리 파일을 포함하여 속성 변경
⑧ MD (Make Directory)
디렉토리를 만들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 현재 디렉토리 하위에 TEST 디렉토리를 만들려면
MD TEST
⑨ RD (Remove Directory)
디렉토리를 없애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현재 디렉토리가 지우려는 디렉토리일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지우려는 디렉토리에 하위 디렉토리나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지울 수 없습니다.
▷ 현재 디렉토리 하위의 TEST 디렉토리를 지움
RD TEST
⑩ DELTREE
지정 디렉토리를 포함한 그 하위 디렉토리와 그 안의 모든 파일을 삭제합니다.
이때 읽기 전용, 숨김, 시스템 속성의 파일도 모두 삭제하므로 극히 주의를 요하는 명령입니다.
▷ C:\TMP 디렉토리와 그 안의 모든 파일을 삭제
DELTREE C:\TMP
▷ 현재 디렉토리 하위의 TEMP 디렉토리와 그 하위의 모든 디렉토리를 지우고
그 안의 파일도 확인 절차 없이 무조건 삭제
DELTREE /Y TEMP (이 경우 'DELTREE TEMP /Y'처럼 'TEMP'와 '/Y'
위치를 바꾸면 원하는 동작을 하지 않습니다)
Y 스위치 - 확인 절차 없이 바로 삭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겠죠)
⑪ DISKCOPY
플로피 디스크 전체를 복사합니다.
플로피 디스크 사이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하드 디스크로 복사하려고 할 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드 디스크 사이의 복사는 XCOPY를 이용하세요.
▷ A: 드라이브에 있는 디스켓의 내용을 다시 새 디스켓으로 복사
DISKCOPY A: A: (화면의 지시에 따라 갈아넣습니다)
▷ A: 드라이브의 디스켓을 B: 드라이브로 복사.
이때 A:, B: 드라이브와 그 안의 디스켓은 같은 용량이라야 합니다.
DISKCOPY A: B:
⑫ EXIT
도스 명령어 처리기를 종료하고 명령어 처리기를 실행했던 프로그램으로 복귀합니다.
한글 MS-DOS를 종료하고 윈도우로 복귀하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한글 MS-DOS를 종료하고 윈도우로 복귀하려는 경우
EXIT
◈컴퓨터를 조금 쓰다 보면 하드디스크를 포맷으로 싸~악 밀어 버리고 |
|
싶을 때가 종종 듭니다. 개운하게 말이죠. |
|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아무래도 품이 많이 들어가긴 하죠. |
|
포맷을 시도하시려면 준비작업이 철저해야 할겁니다. ◈ |
|
① FORMAT
디스켓이나 하드 디스크의 초기화를 수행합니다.
보통 하드 디스크를 처음 사용할 때 이 명령을 사용하지만,
때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하드 디스크를 다시 새롭게 사용하기 위해 이 명령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때 디스크에 있는 기존의 파일이나 디렉토리, 프로그램은 모두 지워져 사용할 수 없으므로
부득이한 경우에만 사용하세요.
포맷시 만일 이전에 포맷된 디스크이고 '/U'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기존의 루트 디렉토리 구조와 FAT를 디스크에 저장합니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나중에 UNFORMAT 명령으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 A: 드라이브 디스켓 초기화
FORMAT A:
▷ A: 드라이브 디스켓을 초기화하고 부팅 가능하도록 시스템 파일 전송
FORMAT A: /S
/S 스위치 - 부팅할 수 있도록 시스템 파일 전송,
/V 스위치 - 볼륨 레이블 지정. '/V:MYDISK'처럼 사용
/Q 스위치 - 기존에 포맷한 적이 있는 디스크를 빨리 포맷
/U 스위치 - 복구할 수 없도록 다시 포맷 (새로운 디스크에 사용)
② UNFORMAT
포맷한 드라이브를 포맷하기 전의 상태로 복구합니다.
하지만 단편화된 파일은 완전한 모습으로 복구할 수 없으므로 가망이 전혀 없을 경우
마지막 희망으로만 사용하세요.
만일 FORMAT 명령 사용시 '/U' 스위치를 사용했다면 이 명령으로 디스크
복구를 할 수 없습니다.
▷ A: 드라이브의 디스켓을 복구할 수 있는지 검사만 수행
UNFORMAT A: /TEST
▷ A: 드라이브의 디스켓을 복구하면서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를 화면으로 출력
UNFORMAT A: /L
/TEST 스위치 - 디스크의 정보를 재생성하기만 하고 기록은 하지 않음
/L 스위치 - 발견한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를 화면으로 출력
/P 스위치 - 결과 메시지 프린트
③ SYS
sys 명령어는 부팅 디스켓을 만들거나 혹은 하드디스크에 부팅에 필요한 파일을 복사할 때
쓰이는 명령으로 System 파일인 IO.sys, MSDOS.sys, COMMAND.com 이렇게 세 개의 파일을
부팅이 가능한 영역으로 복사하는 기능을 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러한 시스템 파일은 무조건 복사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어야
제 기능을 할 수 있는 파일이며 이렇게 sys 명령을 수행하는 것은 SYS.COM 파일입니다.
▷A: 드라이브에 있는 디스켓을 부팅이 가능한 디스켓으로 만들고자 할 때
C:\>SYS a:
만약에 C: 드라이브가 시스템 파일의 손실 등으로 인해서 부팅에 실패했을 때는
마찬가지로 sys c: 하면 됩니다.( A:\>sys c: )
④ SCANDISK
디스크의 논리적인 오류를 찾고 수정하며, 드라이브의 물리적인 표면을 검사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윈도우에도 "디스크 검사"가 있지만 도스모드에서 하는 명령이 보다 확실한 효과를 볼 수있습니다.
▷ 디스크 진단 과정을 메뉴 방식으로 진행하고 싶을 경우
SCANDISK [해당 드라이브]
예)A:\>scandisk c:
/ALL 스위치 - 모든 드라이브를 대상으로 작업
/AUTOFIX 스위치 - 사용자 확인 없이 오류를 바로 수정
/CHECKONLY 스위치 - 오류 수정 없이 검사만 수행
/NOSAVE 스위치 - 결손 클러스터를 바로 삭제
/SURFACE 스위치 - 논리적인 오류 검사후 바로 표면 검사 실시
출처 : http://myhome.naver.com/rooping/main.htm
'그리고 > 컴 퓨 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Windows XP 설치 방법 (파트 1)입니다. (0) | 2009.07.21 |
---|---|
hal.dll 복구방법 (0) | 2009.07.18 |
[스크랩] ntoskrnl.exe 파일에 대해(울산컴퓨터 수리맨) (0) | 2009.07.17 |
잘못 설치된 윈도우 멀티 부팅 삭제하기 (0) | 2009.07.13 |
windows\system32\config\system 파일 문제로 부팅이 안될때 ~ (0) | 2009.07.12 |